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동 평균선의 종류와 장기 이동 평균선 매매 방법

by ㆆㅨ 2022. 12. 13.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

주식 차트를 보면 여러 가지 선의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차트를 보는 주식 초보자들은 여러 가지 색깔의 선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주식 차트에서 여러 가지 선의 그래프는 이동 평균선이라고 합니다. 주식 차트에는  기간별로 5일 이평선, 20일 이평선, 60일 이평선, 120일 이평선이 기본적으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의 종류와 장기 이동 평균선 매매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동 평균선의 종류와 정의

이동평균선의 종류에는 5일 이평선, 20일 이평선, 60일 이평선, 120일 이평선이 있습니다.  5일 이평선은 단기 이평선이라고 하고  60일 이평선은 중기 이평선이라고 하며 120일 이평선은 장기 이평선이라고 합니다.

  • 5일 이평선: 1주일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을 낸 단기 매매선, 단기 추세선
  • 20일 이평선: 1개월간의 평균 매매가격으로 중기 매매선과 생명선을 나타냄 , 20일 이평선에서의 기울기는 현 주가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
  • 60일 이평선: 3개월간의 평균매매 가격으로 중기 추세선과 수급선을 나타냄, 상승과 하락 추세로 전환할 때마다 중요한 기준
  • 120일 이평선: 6개월간의 평균매매가격으로 장기적 추세선과 경기선, 주요 지수가 중장기적으로 본격적인 상승 랠리로 접어들었는가 판단하는 선
  • 상승방향: 5일 →20일→60일→120일 이동 평균선 순서
  • 하락방향: 장기 이평선→중기 이평선→단기 이평선→현재 주가
  • 정배열: 현재 주가→단기 이평선→중기 이평선→장기 이평선
  • 역배열: 장기 이평선→중기 이평선→단기 이평선→현재 주가

지지선, 저항선, 밀집도 분석

주가가 상승 중일 때에는 단기, 중기, 장기 이동 평균선을 지지선으로 합니다. 하락 반전될 때에는 이동 평균선을 차례로 하향 이탈하게 됩니다. 주가가 하락 중일 때에는 단기, 중기, 장기 이동 평균선을 저항선으로 합니다. 상승 반전될 때에는 이동 평균선을 차례로 상향 돌파하게 됩니다.  

 

이동 평균선으로 밀집도를 분석하여 추세 전환을 예측할 수 있는데 이동평균선 가격이 멀어질수록 기존 추세가 계속되고 멀어지던 가격이 좁혀지기 시작하면 추세 전환이 가까워짐을 예고합니다.

 

장기 이동 평균선 매매 방법

장기 이동평균선은 240일 이동평균선을 설정합니다.  240일 이동평균선은 1년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을 말합니다. 그리고 2년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인 480일 이동 평균선을 설정합니다. 

 

240일 이평선이 하단에 있고 480일 이평선이 상단에 있을 때 240일 이평선을 돌파할 때 매수 타이밍, 480일 이평선 저항을 맞을 때 매도 타이밍으로 잡습니다. 장기 이평선이 수렴 이후 골든크로스 구간으로 매수 타이밍으로 봅니다. 단 240일 이평선과 480일 이평선에 이격도 차이가 없을 때에는 매매를 금지하는 게 좋습니다.

 

주식 매매 방법은 한 가지 지표로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지표와 그 기업의 가치를 공부하고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투자 방법입니다. 그래서 주식은 공부를 하고 또 하고 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