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우 이론으로 보는 주가의 추세 진행 과정

by ㆆㅨ 2022. 12. 7.

다우 이론은 주가의 움직임과 주식시장의 추세를 기술적으로 분석한 이론으로 추세분석의 고전으로 불립니다. 다우 이론으로 보는 주가의 추세 진행 과정은 강세시장에서의 3개의 국면과 약세시장에서의 3개 국면으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더 자세한 추세 진행 과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다우 이론 진행 과정

다우이론-강세시장-약세시장
다우이론

다우 이론 진행 과정은 강세시장에서 3 국면과 약세시장에서 3 국면으로 분류됩니다, 강세시장에서 1 국면은 매집 국면, 2 국면은 마크업, 3 국면은 과열로 분류됩니다. 약세시장에서 1 국면은 분산, 2 국면은 공황, 3 국면은 침체 구간으로 분류합니다.

 

다우이론의 기본 원리는 평균치는 시장의 모든 요소를 반영하고 주식 시장은 3개의 추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식의 추세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평균 지수는 반드시 서로를 확인합니다. 거래량은 추세를 확인시키며 어떤 추세가 반전했다는 명확한 신호를 보이기까지는 그 추세가 유효한 것으로 봅니다.

 

거래량은 주식 시장의 추세를 확인시켜 주는데 상승하는 추세에서는 주가가 상승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주가가 하락하면 거래량도 감소합니다. 하락하는 추세에서 주가가 하락하면 거래량은 상승하고 주가가 상승하면 거래량은 감소합니다.

 

강세시장의 3국면: 매집→도약(마크업)→과열

1 국면(매집): 강세시장의 초기 단계에서는 경제 , 산업, 기업환경, 주식시장 등 모든 여건이 회복되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어두운 전망이 예상됩니다. 불안한 일반 개인 투자자는 장기간 약세시장에 지쳐서 보유주식을 매도해버리려 하지만 경기 호전을 예측한 전무 투자자들은 매도 물량을 매수하기 시작해서 점차 거래량이 증가하는 구간입니다. 매수하는 타이밍입니다

 

2 국면(마크업): 전반적인 경제 여건 및 기업의 영업수익이 호전됨으로써 일반 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주가가 상승하고 거래량도 증가합니다. 도약 국면이라고도 하고 기술적 분석을 이용하여 주식 투자하는 사람이 가장 많이 수익을 올리는 단계입니다. 점진적으로 매도하는 타이밍입니다.

 

3 국면(과열): 경제 전반에 걸쳐 각종 통계자료가 호조를 보이면서 투자가치가 미세한 종목에까지 인기가 있는 시기입니다. 일반 투자자나 주식투자에 경험 없는 사람들이 뒤늦게 확신을 가지고 적극 매입에 나서면서 과열 국면에 이릅니다. 매수자는 손해 보기 쉽습니다. 전가 투자자들은 매도 타이밍으로 보고 매도를 하는 구간입니다.

 

약세시장의 3국면: 분산→공황→침체

1 국면(분산): 지나치게 과열된 것을 감지한 전문 투자자들이 투자수익을 취한 후 빠져나가는 단계입니다. 이때는 주가가 조금만 하락해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도 타이밍으로 봅니다.

 

2 국면(공황): 경제 전반에 관한 통계자료가 악화됨에 따라 주식을 매도하려는 일반 투자자들의 마음이 조급해지면서 매수세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되어 있는 구간입니다. 주가는 거의 수직하락을 하게 되며 거래량도 급격히 감소하는 구간입니다. 전문 투자자들은 점진적으로 매수하는 타이밍입니다.

 

3 국면(침체): 공황 국면에서 미처 처분하지 못한 일반 투자자들의 투매 양상이 나타나는 구간입니다. 투매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주가는 계속 하락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주가의 낙폭은 작아지게 됩니다. 주식시장의 침체와 기업의 수익성 악화 등 좋지 못한 정보가 주식시장 전체에 널리 퍼져 있어서 침체국면에 해당됩니다. 전문 투자자들은 매수 타이밍으로 봅니다.

 

 

 

댓글